한국 기독교가 ‘성년’으로 부활하는 날
장로회의 언더우드와 감리교의 아펜젤러가 제물포항에 첫발을 내디딘 게 1885년 4월5일이다. 부활절 주일과 정확히 일치하는 날, 한국 기독교가 선교 130돌을 맞는다. 기독교는 불과 130년 만에 동아시아에서 유독 한국에서만 주류 종교가 되었다. 이들은 어떻게 단기간에 민중들 속에 뿌리내릴 수 있었을까.
의문을 풀려면 언더우드나 아펜젤러보다 한 달 뒤 들어온 윌리엄 스크랜턴을 주목해야 한다. 그는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의과를 나온 엘리트였지만, 다른 선교사들과 달리 외국 공사와 양반들의 거처였던 정동을 떠나 하층민들이 살던 애오개, 남대문, 동대문에 병원과 교회들을 세웠다. 그의 어머니 메리 스크랜턴은 거리에 버려지거나 가난한 여성들을 위해 이화학당과 여성병원을 설립했다.
*kbs 다큐멘터리
윌리엄 스크랜턴의 제자가 전덕기(1875~1914) 목사다. 9살 때 부모를 모두 잃고 숙부 집에서 자란 전덕기는 건달기가 다분한 숯장수였다. 17살에 스크랜턴의 병원 일꾼으로 들어간 그는 아랫사람까지 평등하게 대하는 스크랜턴 모자에게 감화돼 기독교에 입교하고, 28살인 1903년 목사가 된다
. 전덕기는 그해 상동교회 청년회를 조직해 독립운동을 펼친다. 을사늑약 무효 상소, 이준의 헤이그 파견, 신민회 조직, 105인 사건 뒤엔 늘 전덕기가 있었다. 그는 불과 39살에 세상을 떴지만 위를 향한 신앙과 옆을 향한 이웃동포 사랑을 동시에 실현하려던 선구자였다. 안창호, 조만식, 김구, 3·1운동 당시 인구의 1.5%에 불과하면서도 투옥자의 17~22%가량을 차지한 기독교인들에게도 개인 구원과 민족의 구원은 하나였다.
그러나 제국에서 온 선교사들은 신앙과 현실을 분리시켰다. 스크랜턴은 한국 감리교를 관할하던 일본의 해리스 감독이 너무 친일적이라고 반발하다 밉보여 1907년 목사직을 사임했다. 그러나 그조차도 전덕기의 상동교회 청년회가 민족운동의 구심점이 되자 1905년 해산시켜버린다.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통해 일제의 한반도 점령을 용인한 미국은 스크랜턴에게도 조국이었던 것이다. 105인 사건을 일제에 밀고해 독립지사들을 일망타진케 한 프랑스인 천주교 대주교 뮈텔처럼 제국에서 온 선교사들은 ‘현실참여 금지’라는 명목으로 독립운동을 막았다. 그러나 정작 그들은 반대였다. 1차대전이 터지면서 적대국이 된 프랑스와 독일의 가톨릭 선교사들은 서로 갈등했고, 참전을 위해 자기 조국으로 떠났다.
3·1운동 때도 오산학교 설립자 이승훈이 “나라 잃고 형제 동포들이 다 지옥에 있는데, 나라 없는 놈이 어떻게 천당에 가?”라고 일갈한 일화가 전한다. 선교사들의 권면 때문에 길선주 목사 등조차 독립선언문 서명을 주저했기 때문이었다.
일제가 물러간 뒤 선교사들의 조국은 더 큰 우상으로 다가왔다. 해방 이후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와 혐오에 사로잡힌 기독교인들에게 미국과 미군은 구세주이자 가장 든든한 ‘빽’이었다. 마크 리퍼트 대사가 피습당했을 때 미국대사관 앞에서 부채춤을 추고 무릎을 꿇은 기독교인들의 숭배는 극소수의 의식만은 아니다.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의 쾌유를 비는 개신교인들의 행사. 한겨레자료사진
북에서 잔혹한 학살과 재산 탈취를 당하고 월남해 남한 우익의 핵이 된 기독교인들의 공산주의 혐오증과 반공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제 해방은 70년, 6·25도 65년이 지났다. 한국 기독교도 유아 청소년기를 지나 장년이 될 시점이다. 해방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맷집이 커졌다. 보채는 아이에서 그런 아이를 달랠 만큼 성장했다.
기독교(개신교)는 구한말, 이 땅과 동포의 안위보다 상국에 대한 예의에 더 정신을 쏟은 조선 유교 사대부를 비판하며 등장했다. 그런데 정작 자신이 외세 숭배자로 남아 여전히 한반도의 갈등만 재생산해낸다면, 선교의 논리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다. 이제 원한을 십자가에 못박고, 희망을 부활시킬 때가 아닌가.
불교는 당나라란 외세의 압박 아래서 분열된 삼한을 하나로 묶기 위해 ‘화쟁’(다름을 인정하면서도 화해)을 제시하며 어른 노릇을 했다. 한국 기독교도 원효 정도의 대안은 제시하며 희망을 열어야 평화 통일 시대를 책임질 어른이 되지 않겠는가.
조현 종교전문기자 겸 논설위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