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세상을 초월해 저 높은 곳을 향하는 인간의 이상은 어디까지 가 닿을까.
첫 순례지는 ‘아기아스 트리아도스(Agias Triados) 수도원’이다. 벽 같은 수직 절벽에 수도관 파이프 같은 통로를 내놓았다. 계단도 1925년에서야 만들어졌는데, 130개의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계단과 통로가 만들어지기 전까지 수도사들은 나무 사다리나 밧줄을 타고 오르내렸다.
좁은 통로와 계단을 통해 수직 절벽 위로 올라가니 그 위는 평지처럼 평평하다. 신이 수도원용으로 제작한 모형 바위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마당은 좁지만 정원은 생각보다 넓고, 어디선가 날아온 흙 몇 줌에 의지해 몇 그루의 나무도 버티고 서 있다.
출입구 옆쪽으로 돌아가니 굵은 동아줄이 기둥을 감고 있다. 수도사들이 절벽 위를 오르내릴 때 수도원과 세상을 연결해주던 유일한 끈이다.
수도원 내 한두 평 남짓한 방에 난 작은 창밖으로 새가 한 마리 날고 있다. 옛 은둔 수도사들은 감옥 같은 이 방에 스스로를 가두고, 자유롭게 나는 새를 보면서 무엇을 꿈꿨을까.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을 날고자 했던 이카로스처럼 하늘을 날고 싶었을까, 아니면 그런 마음마저 비워 허공이 되고자 했을까. 수도원 입구 반대쪽으로 나가보니 저 멀리 설산을 배경으로 칼람바카 마을이 바위군 틈에 앉아 있다. 설산과 마을과 수직바위가 트리오처럼 어울려 있다.
수도원을 내려오는 길에서 다시 아폴론을 만났다. 녀석은 꼬리를 좀 흔드는가 싶더니 이내 고개를 돌려버린다. 어떻게 해야 녀석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까. 점심 끼니용으로 싸온 소시지를 보여주며 부르자 처음엔 쑥스러운 듯 고개를 숙이더니 이내 다가와선 맛있게 받아먹는다. 그러곤 좀 더 없냐는 듯이 쳐다본다. 남은 소시지마저 넘겨주지 않을 수 없다. 아폴론의 쩝쩝 소리에 맞춰 내 배에선 꼬르륵 소리가 난다.
그때 수도원 계단을 오르던 아폴론 일행이 개를 향해 손을 흔든다. 소시지에 정신 팔려 일행을 내팽개친 그가 무정하다는 듯이. 일행들을 보더니 아폴론은 부끄러운 듯 도랑으로 숨는다. 개가죽만 뒤집어썼을 뿐 영락없는 사람이다. 이제 전날의 소원함을 풀고 아폴론과 즐거운 데이트를 해볼까 하는 생각도 잠시, 고개를 돌려보니 녀석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다. 꼬리를 흔들어봐야 내 배낭에서 더는 나올 게 없다는 것을 눈치 채고 튄 것이다.
삶이란 그런 것. 오고 감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슬픔과 고독뿐이다. 수도사들이 바위 끝 삶을 산 것은 슬픔과 고독 속에 자기를 가두기 위함이 아니라 자기로부터 해방되기 위함이다. 나도 좀 더 대범하게 녀석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스인생학교>(조현 지음, 휴) '5장, 하늘 위의 수도원, 메테오라'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