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사진 <한겨레> 자료
공주 한옥마을 객실 사진 <한겨레> 자료
날씨가 따뜻해지니 겨우내 집 구석구석 쌓인 먼지가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차례차례 대청소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마음은 벌써 바쁘다.
청소를 하기 전 먼저 시작하는 것은 물건정리다. 불필요한 물건들이야 말로 먼지를 잔뜩 뒤집어쓰고 집을 더럽히는, 정리하고 청소하는데 손을 많이 가게 해 노력과 시간을 잡아먹는 주범이기 때문이다. 버린다고 버리고, 가능한 적게 산다고 노력한 것 같은데 집안 곳곳엔 어느새 이런저런 물건들이 쌓여있다.
중형 크기(40평대 후반)의 아파트에 살다가, 마당 포함한 면적이 살던 아파트의 반에 불과한 한옥(20평대 초반)으로 이사한 분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마당을 빼면 주거공간은 더 작기 때문에 갖고 있던 짐의 무려 90%를 버려야만 한옥으로 이사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막상 살아보니 버린 90%의 짐 중에 필요한 것이 하나도 없었다고 한다.
이 분은 그 후 고정된 형태로 된 물건은 추가로 집에 들이지 않기로 원칙을 정했다고 한다. 지인들이 집에 놀러올 때도 물건을 선물로 갖고 오는 것을 ‘금지’시켰다. 선물로 허락된 품목은 단 하나였는데, 그건 바로 ‘먹어 없앨 수 있는’ 음식이다.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조선의 아름다움’은 ‘빼고, 빼고, 빼고 나서 더 이상 뺄 것이 없는 상태’라고 묘사한 부분이 있다. 이 문장을 읽었을 때, 예전에 봤던 한 전시가 떠올랐다. 조선시대 선비의 방과 당시 가구의 간결한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전시였다. 선비의 방을 재현한 공간에는 몇 개의 가구와 붓글씨 도구 등 실용적인 물건들만 있고, 장식을 위한 장식품은 전혀 없었다. 그런데도 네모반듯한 가구의 단순함과 벽에 걸린 붓들의 가지런한 모습, 창의 격자무늬 등이 그 자체로 정결한 아름다움을 뿜어내고 있었다.
공간을 꾸미는 것은 아름다운 장식품과 꽃을 놓거나, 그림을 걸어야 한다고 습관적으로 생각했던 내게 그 공간은 충격이었다. 인위적인 장식을 하지 않고, 꼭 필요한 물건을 최소한으로 갖고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지극한 아름다움이 생긴다는 것을 목격한 순간이었다.
이런 경험을 한 이후로 나는 내가 쓰는 공간에 가능한 장식품을 두지 않는다. 있는 것은 없애고 새로 사지 않으려고 한다. 대신 꼭 필요한 물건을 살 때, 사용하기도 편리하고 디자인 면에서도 아름다운 것을 사려고 신경을 쓴다. 공간을 비워놓을수록 간결하고 시원한 여백의 미가 생기고 그로인해 정신도 맑아질 것이라고 믿으면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좋고 아름다운 물건을 더 많이 소유하고, 그 물건들을 쓰고 살 더 넓은 집에서 사는 것이 삶의 목표가 돼버린 ‘덧셈의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하지만 덧셈은 해도 해도 끝이 없다. 욕심은 채울수록 커지고, ‘백만장자는 백만 가지의 걱정이 있다’고 갖고 있는 게 많을수록 신경 쓸 일도 많아진다.
덧셈 대신 뺄셈의 생활을 해보면 어떨까. 더 이상 뺄 것이 없는 상태까지 빼고 또 빼고. 뺄셈을 하다보면 그다지 필요도 없는 물건에 그 많은 시간과 돈, 노력을 썼다는 생각에 덧셈에 대한 욕구가 뚝 떨어진다. 그 다음에 생기는 것은 물건이 아닌 온전히 자기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여유다.
휴리(심플라이프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