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한겨레 수행·치유 전문 웹진 - 휴심정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077

무덤에서 불러낸 어제-오늘-내일

$
0
0
11= - 복사본.jpg

겨울로 들어서는 길목이기도 하고 또 위령의 달 이기도 한 11월, 이 11월 독일 날씨는 그야말로 안개, 짙은 구름, 가랑비, 진눈깨비까지 늘 졸졸 따라 다니는 거의 빛이 없는 칙칙한 날들로 이어지다 어느 땐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빛을 거의 못 보는 날들이 수두룩하다. 한국에서 온 한 초등학생의 질문을 실제로 들었다. 독일 고모네에 한 달 정도 머물던 초등학생이 묻기를 ‘고모 독일은 원래 햇빛이 없는 나라냐‘고?
 이런 을씨년스러운 11월의 어느 일요일 아침이었다. 한 통의 전화가 울렸는데 평소 친하게 지내던 독일인 에스토아 박사였다. 독일의 콜 수상 때에 높은 관직에 계시다 은퇴하신 독신녀시다. 이분은 김치를 참 좋아하시는데 그 세월도 자그마치 60여 년 되었다. 뮌스터 대학에서 기숙사 생활을 할 때 한 한국인이 공동부엌에서 늘 이상한 음식(?) 하나를 만들곤 했었는데 그게 바로 김치였고, 그때부터 이 맛에 매료되었다고!

12= - 복사본.jpg

고 김수환 추기경이 만들어준 김치맛 못 잊어

  그럼 이 기숙사에서 김치를 자주 만들었던 분은 누구였던가? 이렇게 김치를 만들었던 주인공은 아직 추기경이 되기 전 신부로서 공부할 때의 고 김수환 추기경이었다. 말하자면 이분은 고 김수환 추기경과 함께 뮌스터 대학에서 공부한 대학 동기동창이다. (에스토아 박사는 나의 주선으로 한국 여행을 갔었을 때 생전의 김수환 추기경님을 만났다).
 이분의 전화 용건은 베를린에서 온 한 예수회 신부가 M시에 묻힌 옛 동료들의 묘지를 찾는데 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거다. 내가 예수회 신부들과 친분이 두터웠던 C박사 묘를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예수회 신부들의 묘지까지 잘 알고 있었다.

13= - 복사본.jpg

 이 M시의 공원묘지에 대해 잠시만. 낮은 언덕받이를 낀 이 공원묘지는 세기의 신학자인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1884-1976)과 유명한 종교학자이자 신학자인 루톨프 오토(Rudolf Otto:1869-1937)도 묻힌 곳이다. 1800년대의 유대인들의 비석도 현존하는 이곳의 무덤들은 계절마다 다른 꽃으로, 살아 있는 자의 손에 의해 갈아 입혀진다. 이른 봄에는 주로 ’스티프뮈터헨‘(Stiefm?tterchen)이, 5월 중순쯤이 되면 빨간색, 보라색, 노란색, 하얀색의 베고니에(Begonie)밭을 이룬다. 독일 특유의 잿빛 하늘과 삭막함과 황량함이 극도로 치닫는 11월이 되면 일제히 에리카(Erika)로 뒤덮힌다. 이 붉은 에리카는 성탄 소나무 가지와 짝을 이루어 겨울 내내 공원묘지를 훤하게 밝힌다.
 이곳은 독일인들의 사시사철 산책코스 이기도 하다. ’오늘은 나, 내일은 너‘를 진지하게 명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덤 속의 혼들이 ’오늘의 나‘에 속한다면, 살아있는 자들은 대비적으로 ’내일의 너‘가 된다. 말하자면 죽은 자 쪽에서 던지는 말이다. 우리들은 지금 이렇게 잠자고 있지만, 내일 언젠가 너희들도 우리처럼 이렇게 땅속에 눕는다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으니 이런 진지한 명상을 어디서 할 수 있겠는가?

14 - 복사본.jpg

교황 죽음에 오직 애도뿐…천국은 있는 걸까

  드디어 나는 노신부와 에스토아 박사를 예수회 신부들의 묘지로 인도했다. 그 노신부는 무덤들을 보자말자 감회에 젖어서 각 비석에 새겨진 옛 동료 신부들의 이름 하나하나 다정스럽게 부르면서 생전 모습과 성격까지 무덤 속에서 건져 올리기 시작했다. “여기 잠든 이 신부는 영어 선생이었고, 저 신부는 문학에 지대한 관심이 있었기에 성당에서 교리보다는 문학강의를 더 좋아했고, 여기 이 신부는 살아 생전에 강론을 너무 길게 하다 보니 신자들이 엄청 많이 지루해 했었다. 좌우지간 그 신부는 생전에 유명한 강론가/설교가로 명성을 날렸다고!” 이렇게 이들 생전의 모습들을 특징적으로 솔솔 나열했다.
 각 종교의 교리에는 천국과 지옥이 엄연히 명시되어 있는데 정말 천국이 있을까? 있다면 그의 동료들은 과연 이 노 신부의 독백을 천국에서 듣고는 있을지? 결론은 이런 교리를 믿을지라도 사실 어느 누구도 죽고 나서 구체적으로 ’천국이 이렇더라‘고 알려준 이는 아직 아무도 없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몇 년 전에 요한 바오로 교황이 서거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독일에서도 돌아가신 교황에 대해 정말 귀가 따갑도록 연일 방송했다. 필자는 호기심에서 방송을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아! 얼마나 기쁜 일입니까? 우리 교황이 드디어 성서에 나오는 천국으로 가셨다‘는 이 말을 한번 듣고 싶었던 거다. 당시 내가 들은 방송 범위 내에서는 전혀 이런 언급이 없었다. 다들 이분의 죽음만을 오직 애도할 뿐이었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최고‘라는 말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그 노신부는 마치 옛 예수회 동료들을 다시 만나기나 한 듯이 카메라로 동료들을 조심스럽게 담았다. ’오늘의 나‘와 ’내일의 너‘ 사이의 우정교류는 참으로 아름다웠다. 내가 죽고 난 뒤 디지털 카메라를 들고 와서 사진 찍을 이가 과연 있을지? 디지털 카메라를 지참하지 않아도 좋다. 내 묘지를 방문하기 위해 4~5시간 걸리는 기차를 타고 올 이가 과연 있을지? 
 그러기에 이 산 자와 죽은 자의 우정이 더욱 더 빛나 보였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07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