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부탁받은 뒤 일주일이 흘렀는데도 글고리가 잡히지 않는다. 마감날 아침까지 한 줄도 시작하지 못한 채 오래 전에 약속된 장거리 답사일정을 위해 길을 나서야 했다. 올커니! 이것을 글감으로 사용하면 되겠다. 갑자기 무겁던 발걸음이 가벼워진다. 그런데 일간신문이라 기다려 줄지 모르겠다. 기차역으로 출발하면서 담당자에게 조심스럽게 문자를 보냈다.
“낼 아침까지 마감시켜도 되는지요?”
기다려도 답장이 오지 않는다. 설사 약속을 못지켰다고 할지라도 문자까지 모른 체 할 일은 아닐텐데. 어쨋거나 답사일정을 소화한 후 어둑해질 무렵 도착한 광주송정역에서 비슷한 내용으로 또 문자를 보냈다. 역시 묵무부답이다. 이미 다른 예비원고로 바꾸어서 지면을 채운 것일까? 그렇다면 괜히 수고롭게 밤을 새워가며 애쓸 필요가 없겠지. 이제 나이 탓인지 예전과 달리 밤샘하면 그 후유증이 며칠씩 가는데. 그래도 직접 확인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 기별!’이라며 통화버턴을 눌렀다. 벨이 한참동안 울려도 받지 않는다. 끊었다. 심란하다. 조금 후 전화가 왔다.
“낼 아침 마감시키면 됩니다. 문자로 답장했는데 안들어갔나 봐요.”
011과 010 상호호환에 잠시 문제가 생겼던 모양이다. 기계가 인간을 이간질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열차가 서울을 향해 출발하자마자 가방에서 메모지를 꺼냈다. 오늘 남도 답사길에서 느꼈던 이런저런 일을 가로 세로로 대충 얼개를 엮었다. 답사와 관련된 예전에 읽었던 책도 기억에 의존하여 더듬고 섬광같이 지나가는 광고문 같은 말도 조미료처럼 뿌렸다. 내용을 다소 과장하고 또 부풀리고 꾸미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어느 새 한강철교다. 덜커덩거리는 금속성 바퀴소리가 울린다. 메모를 보충하고 정리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은 까닭에 기차 안과 집안이 결코 다른 공간이 아니였다.
바쁜 마음으로 숙소에 도착하니 거의 자정 무렵이다. 시계보는 시간도 씻는 시간도 아까운지라 모든 것을 생략하고서 노트북을 열고 메모지를 펼쳤다. 영가현각(637~713)선사는 육조혜능(638~713)대사를 만나 하룻밤 사이에 완전히 안목이 바뀌었다고 한다. 그런 연유로 후학들은 ‘일숙각(一宿覺)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오늘 하룻밤에 글 한 편을 짓는 ‘일숙문(一宿文)‘이 탄생할 형편이다. 사실 시간이란 양이 아니라 질이 더 중요한 법이다. 열두시간을 한 시간처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한 시간을 스물네시간처럼 쓸 수도 있다. ‘하늘아래 쫓기지 않는 명문이 없다’는 말로 스스로를 위로하며 부지런히 자판을 두들겼다.
한밤중을 지나 새벽녘을 거쳐 출근시간까지 삼십분 넘기면서 겨우 마감했다. 그야말로 비몽사몽간에 숙제를 마친 것이다. 데스크의 손을 거친 덕분에 이튿 날 ’바쁜 티‘ 안나게 매끈한 문장으로 지면을 장식할 수 있음에 더욱 감사했다. 같이 답사했던 일행들은 “어떻게 하룻밤만에 쓸 수가 있나? 미리 써둔 글이 아닌가?” 라는 농담같은 독후감이 오고갔다는 뒷말까지 전해들었다. 몇 년 전 동국대 총장과 조계종 총무원장을 역임한 가산지관(1932~2012)스님께서 열반했을 때 추모글을 청탁받고 이틀만에 마감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한편을 완성한 시간이 개인적으로 가장 짧았던 글이다. 본래 추모글은 긴 시간이 주어지는 것이 아님을 감안하더라도 이제 그 기록을 갱신한 까닭에 이렇게 다시 덤으로 후일담까지 남기게 되었다.
신춘문예에 응모한 많은 시인들이 당선작을 발표하기도 전에 미리 후기인 당선소감을 써둔다고 한다. 그런데 그 당선소감이 응모작보다 훨씬 더 명문인 경우가 많다. 신간을 구입할 때마다 머리말 혹은 후기를 가장 먼저 읽는다. 그것을 통해 작가의 내면살림과 그 책의 무게를 헤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머리말 역시 맨 마지막에 쓴다는 점에서 후기나 다를 바 없다. 어떤 책이건 머릿말은 본문전체를 꿰뚫는 명문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서문만 모아 따로 책을 만들어도 그 자체로 휼륭한 저서가 된다. 학인시절에는 경전의 서문만 모아 다시 편집한 『제경서문(諸經序文)』을 교과과정 외에 따로 과외로 배웠다. 물론 그 정도의 명문인 서문 혹은 후기를 바란다는 것은 얼토당토 않는 일이다. 그저 뒷담화 삼아 후기같지 않는 후기를 남겼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