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한겨레 수행·치유 전문 웹진 - 휴심정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077

옛 인물사진 속의 내면

$
0
0


학봉선생 영정에 색깔 뺀 선글라스를 씌우다

 


sun5--.JPG


안경 쓴 옛 초상화를 처음 대한 것은 매천 황현(1855-1910)선생 영정이다. 전남 구례의 지리산 입구에 있는 사당 매천사(梅泉祠)에 봉안된 것이다. 안경너머 쏘는듯한 눈빛 안에 가려진 서늘함이 함께 하는 이 그림은 상상화가 아니였다. 이미 그 영정의 모본이 된 사진이 있기 때문이다. 한일합방 일년 전 1909년 천연당(天然堂)사진관에서 찍은 것이라고 했다. 그 사진관 주인은 서예가 화가로 유명한 해강 김규진(1868-1933)선생이다. 일본에서 사진기술을 익힌 뒤 40세되던 해 서울 소공동에서 1907년 개업하여 1915년까지 운영했다고 한다. 고종임금 어진도 촬영할만큼 전문성을 인정받았고 장안에서 큰 인기를 누렸지만 손익계산에는 그리 밝지 못했던 모양이다.

 

황현선생의 사진은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쓴 뒤 의자에 앉아 부채를 들고 책을 펼쳐 든 모습이다. 영정사진이 될 것을 염두에 두고 미리 찍어둔 것이리라. “동그란 안경너머 생각에 잠긴 듯 앞쪽을 정시하는 시선과 비통함을 참는 듯 살짝 다문 입술은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옷깃을 여미고 숙연한 분위기에 젖게 한다”(조선미 한국의 초상화)는 감상후기에 공감!’이란 댓글을 보탰다. 촬영을 마친 이듬해 1910년 그는 망국의 한을 안고 가을 등불아래 책덮고 옛일을 돌이키니 글 아는 사람노릇하기가 어렵다는 절명시를 남기고 자진(自盡)했다.

 

그로부터 일년 뒤 1911년 영정이 제작되었다. 두루마기(일상생활복)가 아니라 심의(深衣예복)를 입혔고 갓(실외용)은 화려한 정자관(程子冠실내용)으로 바꾸었으며 의자는 돗자리로 대치했다. 둥글고 소박한 뿔테안경과 책 그리고 부채는 사진을 그대로 반영했다. 그린 화가는 조선왕조의 마지막 어진화가 채용신(蔡龍臣1850~1941)이다. 고종임금 흥선대원군 등 왕가어진은 물론 항일의병 운동을 한 최익현 등 기개있는 선비영정도 그렸다. 황현영정 제작도 그 연장선상으로 보인다. 그가 그린 영정 3점은 뒷날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그의 초상화는 기록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예술의 경지까지 올랐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안경은 임진란 전후에 조선에 들어왔다. 4명의 임금이 안경을 사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임금도 꼭 써야할 때를 제외하고는 착용하지 않았다. 사용할 때보다 보관할 때가 더 많은 물건인지라 안경집도 덩달아 정교해졌다. 영조는 사도세자의 안경착용조차 불경(不敬)을 이유로 반대했다. 안경을 쓰고 고종을 알현한 일본공사를 보고는 이 자가 조선을 얕보는구나. 내 앞에서 어찌 감히.”라고 할 만큼 안경이란 그렇고 그런 물건이었다. 황현 역시매천야록에서 서재필이 고종을 알현하는 자리에 안경을 쓰고 나타나.....조정이 온통 분노했다.”고 기록했다. 어찌 그 때 뿐이라. 대한민국 시대 1970년대 무렵까지도 스님들이 다른 사찰로 몸을 옮길 때 그 절에서 안경을 써도 괜찮은지 기존 대중들의 허락을 받은 후에야 비로소 안경을 쓸 수 있었다고 한다.


황현4-.jpg  황현5-.jpg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안경은 학봉 김성일(1538~1593) 선생이 착용했다는 안경이다. 대모갑(玳瑁甲 바다거북 등껍질)으로 테를 만든 엄청 고급안경이다. 장수를 상징하며 재질이 단단하고 또 구하기가 어려운지라 고관대작과 부자만이 소유가 가능했다. 어찌보면 이 안경이야말로 당신을 대변해주는 또다른 상징물이리라. 선생은 선조임금의 명으로 1576년 명나라 1590년 일본을 다녀왔다. 그 무렵 안경이란 물건을 손에 넣었을 것이다. 피나무로 만든 안경집까지 완벽하게 남아있다.

그는 참으로 미스테리한 인물이다. 퇴계(1502~1571)선생의 학풍을 이어받은 당대 최고의 도학자이며 대궐에 있을 때는 임금에게도 직언을 서슴치 않았던 호랑이였다. 사신으로 일본을 다녀온 뒤 조선침략 가능성이 없다는 허위보고를 하고도 살아 남았으며, 임진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모집하는 일에 최선을 다했다. 이런 다양한 그의 모습을 한 마디로 규정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조선말 궁중화가 채용신은 황현사진이 남아있어 그것을 통해 영정을 그릴 수 있었다. 하지만 김호석 화백은 얼굴도 알 수 없는 오백년 전의 인물인 학봉선생의 영정을 그려달라는 부탁을 후손에게 받았다. 그야말로 대략난감이다. 그렇다고 해서 선화(禪畵)처럼 백지족자를 내놓을 수도 없는 일이다. 후손들의 모습을 통해 조상의 모습을 추적하고, 남아있는 문집과 각종문헌을 통해 그의 우렁우렁한 성격과 기골이 장대한 모습을 구현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였다. 하지만 그 복잡다단한 이력을 가진 그의 내면세계까지 그림으로 옮겨낸다는 것은 난제 중에 난제였다. 그 때 안경을 발견했다. 그래. 바로 저거야! 안경을 씌웠다. 그리고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 그대로 색깔없는 선글라스가 된 것이다. 도무지 그의 심중을 헤아릴 길 없는 모습을 재현하는데 비로소 성공한 것이다.

 

채용신이 어진화가에서 선비화가로 영역을 넓혔듯이 김호석 화백도 어진화가(노무현 대통령) 고승화가(법정스님 등)로 활약하면서 틈나는대로 집안의 할아버지 아버지 모습을 통해 꼬장꼬장한 선비모습까지 그렸다. 마지막은 자신의 자화상으로 그 계보를 이었다. 하지만 그의 성정으로 보건데 언젠가 그의 아들도 그 선비 계열에 줄을 세우리라.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077

Trending Articles